전문가 58%가 70세, 26%는 65세가 적정 연령
고령소비자의 행복한 소비생활 지원체계도 미흡
![]() |
△ 신명난 어르신들 |
(세종=포커스뉴스) 100세 시대를 앞두고 고령자의 기준 연령을 높여야한다는 주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고령사회 전문가 100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 58%가 고령자 기준 적정 연령을 70세로 꼽았다. 65세를 적정 연령으로 꼽은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 2014년 노인실태 조사(보건복지부·통계청)에서 노인연령기준이 70세 이상이라고 응답한 일반인 비율(78.3%)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기준 연령의 상향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고령소비자와 관련한 문제에서는 ‘안전(55%)’을 우선순위로 뒀다. 그 다음으로는 정보제공(11%), 피해보상(10%) 등의 순이었다.
소비자원 측은 소비생활 안전 이슈 증대, 고령자 소비시장 형성 및 소비자권리 의식 향상 등을 반영한 결과로 분석했다.
고령소비자와 관련한 정책에서는 ‘보호·예방·참여’ 삼각체계의 필요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고령소비자보호에서는 ‘금융상품 등 고령자상품 판매 시 불완전판매 입증 책임을 기업에 둠’이 95%를 차지했다. 이어 ‘고령소비자 대상 피해구제 및 상담체재 강화’, ‘방문판매·전화권유판매 등에서 고령자의 청약철회·취소권 강화’가 각각 94%, 93%를 차지했다.
고령소비자문제 예방에서는 ‘고령소비자 대상 악질사업자 단속 및 새로운 수법 공표 적극 실시’가 99%를 차지했다. 고령소비자참여에서는 ‘은퇴자의 고령소비자상담 활용 등 소비생활분야 일자리 및 참여 기회 창출’이 95%를 기록했다.
고령소비자가 만족하고 행복한 고령사회를 묻는 질문에서는 주체별 노력이 중요하나 아직 미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문가 평가에서는 중앙정부(53.0점)> 지방자치단체 (50.9점)> 소비자 (48.3점)> 기업 (43.6점) 순이었다.
황은애 소비자원 소비자시장연구팀장은 “최근 사회적 논의가 진행 중인 고령자 기준 연령에 대해 전문가의 58%가 70세를, 26%가 65세를 적정 연령으로 꼽았다”며 “관계부처에 정책 건의하고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는 등 고령소비자가 행복한 소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사진=포커스뉴스DB>고령자 기준 연령에 대한 100인 전문가 의견. <출처=한국소비자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