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올해 1분기에도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이 감소했다. 유가 하락에 금속제품과 석유·화학 부문 성장세가 주춤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6년 1분기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외부감사법 적용대상으로 지정한 법인기업의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0% 줄었다. 총자산은 지난해 말 대비 0.5% 늘었다.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9% 줄어 하락세를 이어갔다. 다만 전년 감소폭 5.5%와 직전분기 감소폭 3.4%보다 축소됐다. 중소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1%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3.4%, 전분기 3.1%보다는 증가폭이 다소 줄었다.
한국 경제를 견인하던 제조업이 여전히 부진했다. 다만 매출액 감소폭은 진정돼 지난해 1분기 5.7%보다 줄어든 3.3%로 나타났다.
제조업 중 금속제품(-8.4%), 석유·화학(-8.0%) 등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유가와 철광석 가격 하락이 금속제품과 석유·화학 철광석 내림세를 이끌었다”며 “2014년 기준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부문 매출액은 149조원인데 이중 매출원가가 147조원, 재료비가 121조원일 정도로 원재료 가격 영향이 절대적이다”고 말했다.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전년 52.1달러에서 올 1분기 31.4달러로 크게 줄었다.
기계·전기전자(-2.7%)와 운송장비(-0.6%)도 줄었다. 박 팀장은 “운송장비 중 조선업의 대규모 적자 내역이 지난해 반영돼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감소폭이 줄었다”며 “운송장비 중 자동차의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 수출이 부진했다”고 말했다.
반면 제조업 가운데 섬유·의복(6.5%), 비금속광물(5.5%) 등은 증가했다.
비제조업 매출액은 전기가스(-10.4%) 위주로 1년 사이 0.3%포인트 감소했다. 액화천연가스(LNG) 요금이 20%이상 떨어진 데 기인했다.
수익성은 개선됐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5.6%로 전년 동기 대비 0.4%포인트 늘었다. 물건을 1000원어치 팔면 52원 손에 쥐던 것이 56원까지 늘어났다는 뜻이다. 매출액대비 세전순이익률도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증가한 6.2%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운송장비 수익성이 전년 2.3%에서 4.7%로 증가했다.
안정성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보여주는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과 차입금의존도(차입금+회사채·총자산)는 지난해 말 각각 101.4%, 26.1%에서 올 1분기 101.4%, 26.2%로 집계됐다.
대기업부채비율은 지난해 1분기 97.7%에서 93.8%, 중소기업 부채비율은 154.3%에서 146.9%로 각각 떨어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