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내년 4월 개헌안 확정해야…물러나는 정부, 반대 명분 없어"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23 10:48:31
  • -
  • +
  • 인쇄
"개헌과 경제활성화는 별개…권력 힘으로 누르면 역사 퇴행"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선거구제 개편 연합정권 수립이 목표"
△ 무소속으로 6선 도전하는 이재오 의원

(서울=포커스뉴스)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새누리당을 탈당, 개헌을 위한 중도정당 창당을 계획 중인 이재오 전 의원이 23일 "내년 4월 재보궐 선거 시 개헌안을 확정해야 한다"며 더 이상 개헌을 미뤄선 안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임기 후반기에 접어든 박근혜 정부가 더 이상 개헌 추진을 막을 명분은 없을 것이란 주장을 펼치며,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의원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와의 인터뷰를 통해 "작년이 개헌 적기였는데 청와대, 권력이 내리 눌러서 못했다"며 "올해 12월까지 여야가 합의해 개헌안을 마련하고, 내년 4월 재보궐 선거 때 국민투표를 통해 개헌안을 확정해서 대선을 치르는 것이 가장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정권도 임기가 1년 반 남았는데 국회에서 끝까지 개헌 논의하겠다는 것을 반대할 명분이 있겠느냐. 국회의원들이 개헌 발의권이 있으니까 하겠다는데 이걸 물러가는 정권이 끝까지 반대할 이유가 있겠느냐"며 "개헌 논의 안 했는데 경제활성화가 됐느냐. 경제활성화와 개헌 논의는 별개다. 권력의 힘으로 누르려고 하면 역사가 퇴행되고 정치가 발전할 수 있는 길을 가로막는 것 밖에 안 된다"며 개헌을 반대하는 정부의 태도를 꼬집었다.

개헌을 목표로 추진중인 중도 정당을 통해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뿐 만 아니라 선거구제 개편을 통한 연합정권의 필요성을 주장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로 권력의 구조를 바꾸고, 행정부의 개편을 통해서 선거구제를 바꾸고, 다당제를 통해서 연합정권을 만드는 등의 주장이 있다"며 "특히 다당제, 즉 중대선거구제도 개편에 의해 연합정권을 만드는 것은 나라의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는 길"이라며 개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창당 계획에 대해선 "만약 정당을 하게 되면 명망가 중심의 그런 정당이 아니고 국민의 밑에서부터 올라오는 그런 정당, 국민들의 삶에 와 닿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 중심으로 당을 만드는 것이지 지금까지 기존에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명망가 중심의 정당은 들려고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새누리당을 탈당한 이 전 의원은 친정으로의 복귀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20년간 당이 야당일 때 여당과 싸워서 야당을 지켰고, 또 야당일 땐 10년 동안 여당을 만드는데 앞장서왔지만, 20년 만에 돌아온 것은 쫓아내는 것이었다"며 "제 힘으로 새누리당을 개혁하는 것은 역부족"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김무성 전 대표가 최근 '새누리당이 극우로 가고 있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선 "새누리당이 다 극우는 아니지만 당권을 잡고 있는 주류가 아주 수구적이고 극우적인 그런 생각을 갖고 당을 운영하니까 국민들 눈에는 아주 극우적인 정당으로 비치는 것은 사실"이라며 공감한다는 의견을 내놨다.(서울=포커스뉴스) 새누리당을 탈당한 이재오 의원이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20대 총선 무소속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3.24 박동욱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