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7월 1일부터 아파트 중도금 대출(집단대출) 기준을 1인당 2건, 대출한도를 3억∼6억원으로 강화하기로 함에 따라 뜨거웠던 재건축시장과 신규 분양시장 열기가 다소 식을 것으로 보인다.
집단대출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와 강남 일부 지역의 분양가 고공행진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정부가 보증 규제 강화에 나선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7월 1일 이후 입주자 모집 공고를 하는 모든 주택에 대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집단대출 보증을 1인당 2건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
보증한도는 수도권과 광역시는 6억원, 지방은 3억원이며, 보증대상은 분양가 9억원 이하 주택에 적용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존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한데 이어 집단대출에도 대출 기준이 강화되면서 신규 분양시장과 재건축 시장에도 중요한 분수령이 될이라고 입을 모은다.
박원갑 KB국민은행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대출규제로 청약 가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청약경쟁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외곽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늘어나는 등 청약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 신규 분양을 준비하고 있는 건설사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수요자들의 구매심리가 다소 꺾일 것으로 우려된다”며 “분양시기를 조절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분양가가 치솟고 있는 재건축 사업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재건축 일반분양 아파트의 24%가 9억원 이상이다. 10가구 가운데 2.4가구는 보증을 받지 못하고 집단대출에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