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가가격 비율(전세가율)이 7년 8개월만에 하락했다.
26일 KB국민은행의 7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74.8%로 6월 대비 0.3%포인트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09년 2월 38.3%를 기록한 이후 2011년 10월 50.5%, 2013년 10월 60.1%, 2015년 7월 70.3%, 2016년 6월 75.1%로 7년 5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했었다.
서울지역 전세가율이 하락한 것은 전세가격 상승률(전월 대비 0.24%)이 매매가격 상승률(전월 대비 0.54%) 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계절적인 비수기에 접어들었고 그동안 전세가격이 크게 상승한 강남 지역의 경우 재건축 단지의 이주 수요 감소 요인과 위례신도시와 미사강변도시 입주 물량 과다의 영향으로 전세 물건 소진 속도가 점차 늦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강북지역의 경우 전세가율이 서울 평균(74.8%)을 웃도는 78.2%로 조사됐고, 강남지역은 지난달 보다 0.4%p하락한 72.0%로 나타났다.
특히, 강동구는 6월 72.9%에서 7월 72.1%로 0.8%p 떨어져, 전세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또 강남구는 전월 대비 0.7%p, 송파구는 0.5%p, 서초구는 0.5%p 떨어져 강남지역 주요 구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하락이 높았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 80%대 구는 성북구(84.3%)와 성동구(80.9%), 구로구(81.6%), 중구(80.4%), 관악구(80.1%), 서대문구(80.0%)의 6곳으로 조사됐다.
7월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75.4%로 전월과 같은 수치를 기록, 3년 3개월만에 상승세를 멈췄다.
수도권(76.6%)은 전국 평균(75.4%)을 웃돌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경기 하남(76.4%)의 경우 전월 대비0.5%p 하락했고, 광명(75.6%)은 0.3%p, 안양(81.8%)은 0.2%p 떨어지는 등 일부 지역에서 전세가율 하락 현상이 나타났다.<출처=KB국민은행>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