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제33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사드 배치 문제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의 합헌 결정 △추가경정예산의 조속한 처리에 대해 언급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핵 능력을 고도화시키면서 핵 탑재 탄도미사일의 성능을 끊임없이 향상시키고 있는 상황인데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갈등이 멈추지 않고 있어서 속이 타들어가는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저도 가슴 시릴 만큼 아프게 부모님을 잃었다"면서 "이제 저에게 남은 유일한 소명은 대통령으로서, 나아가 나라와 국민을 각종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선을 다해왔는데도 명백하게 입증이 된 과학적인 근거보다는 각종 괴담과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안보의 근간마저 위태롭게 흔들리고 있어서 걱정"이라면서 "저는 사드 배치 문제를 비롯한 여러 지역 현안들에 대해 민심을 청취하고,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 지역의 대표인 국회의원들과 단체장들을 직접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김영란법의 합헌 결정에 대해 "정부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하며, 국민의 뜻을 받들어 부정부패가 없는 투명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청탁금지법의 근본정신은 단단하게 지켜나가면서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지금 정부에게 주어진 중요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추가경정예산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은 "구조조정의 충격을 맨몸으로 견뎌내야 하는 근로자들과 타들어가는 지역 경제의 고통을 내 몸과 내 일 같이 여겨달라"면서 "추경을 다른 것과 연계해서 붙잡고 있지 말고 처리에 속도를 내주기를 거듭 호소한다"는 말로 국회를 압박했다.
이어 "정부는 구조조정과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서 11조원 규모의 추가 경정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신산업 투자와 일자리 확충에 중점을 둔 세법 개정안도 마련했다"고 환기시킨 뒤 "이번 추경 예산이 통과가 되면, 6만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가 있는데, 추경 처리가 늦어져서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실직 위험에 직면한 근로자들의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